먼저 이글은 http://zine.standardmag.org/200802/20 와 같은 내용임을 알려 드리며 다시한번 테스트 해본 결과입니다.
크로스브라우징으로 인해 시간낭비 및 생각하지 않던 것들때문에 야근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죠.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.
알려진 크로스브라우징 팁 가운데 DTD의 선택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는건 여러 글들을 통해 접했으리라 생각합니다.
그래서 DTD에 따른 박스크기 변화를 다시한번 테스트해 보았습니다.
테스트 박스는 공통적으로 width = 150px / height = 100px / padding = 30px / border = 3px 값을 주었을때 입니다.
먼저 DTD를 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> 로 했을 경우에 결과입니다.
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.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> <html> <head> 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 /> <title>Untitled Document</title> <style type="text/css"> body { margin:30px; } #wrap { width:150px; height:100px; padding:30px; border:3px solid #ccc; font-size:12px; } </style> </head> <body> |
다음은 DTD 가 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transitional.dtd"> 로 했을 경우 입니다.
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.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transitional.dtd"> <body> |
오페라와 사파리(3.1) 역시 파폭과 동일하게 DTD와 관계없이 padding 값과 border 값만큼 지정한 박스보다 커짐을 알수 있었습니다.